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부동산정책

부산북항재개발 관련 2021마스터플랜 2장 현황및 여건분석 (2.1 원도심일원의변화, 2.2 자연환경, 2.3 인문.사회적 여건분석)

by 부산아재84 2022. 5. 20.
728x90
반응형

반갑습니다 부산북항재개발내용

2번째 포스팅입니다.

 

이전시간에는 계획의 개요에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포스팅부터는 양이 좀 많습니다. 

원도심일원의 변화부터~ 사례조사까지

내용이 길어서 나눠서 포스팅해볼께요!!


2.1
원도심 일원의 변화


1. 원도심 여건변화


◆2020년 기준 원도심의 인구는 979,518명으로

 부산시 인구의 28.8%를 차지하고 있으나, 

지난10년 동안 13.9만명(12.4%)이 감소하여

지속적인 인구 유출과 도심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음


◆부산시의지역 내 총생산은

2018년89,979,896백만원으로2010년대비

41.2%증가하였으나, 원도심의 지역 내

총생산은 2018년 27,680,153백만원으로

2010년 대비 29.3% 증가함


◆2010년 부산시의 지역 내 총생산 중

 원도심이 차지하는 비중은 33.6%였으나, 2

017년 30.8%로2.8% 감소하여 원도심을

 중심으로 경제구조의 변화 및

경제 규모의 축소가 진행되고 있음


◆원도심의 상권은 역세권을 중심으로 

쇼핑 및 음식점업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부산역은 광역교통망의 형성으로

음식·숙박업 중심의 상권이 형성되어 있음


◆또한, 원도심은 주거ㆍ업무ㆍ상업의 

기능이 복합화 되어 역세권 및 재래시장에

 입지하고 있는 부산역, 자갈치역, 남포역을 

중심으로 1일 평군 14,000명 가량의

 유동인구가 나타나며, 주간 기준으로 

자갈치역의 유동인구가 

가장 많고, 야간 기준으로 

부산역의 유동인구가 가장 많음


물리적 여건변화

 


◆원도심 내 3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은 65.0%(21,491동)로 분포되어 있고,
대부분의 노후 건축물은서구,동구,
영도구일원을중심으로산복도로
및경사지형에입지하고있어 
지속적관리가필요함


◆「부산시 빈집실태조사 및 

정비계획수립용역(2020.9)」 결과, 
원도심 내의 빈집은 총 1,303동으로 
나타났으나 무허가는 제외되었으므로 
정확한 실태조사와 이에 따른 
정비계획이 필요함

 


◆생활 SOC분석 결과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적 최저기준에 따라 원도심에 해당되는
자치구별로 우선
공급되어야 하는 시설에는 차이는 있으나, 
주로 국공립유치원, 초등학교, 전체 어린이집이 
부족한시설로 나타나 이에 대한 기반시설
공급계획이 필요함

 


2. 원도심의 다양한 계획 이슈

 

◆북항1단계 사업은 2022년 기반시설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자성대 부두와 부산역 조차장, 
부산진역 CY부지를 포함한 북항2단계
재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북항 배후의 원도심지역의 다양한 개발 및 
공간변화가 예상됨


◆북항2단계 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2030 
부산월드엑스포의 부산 유치를 준비하고 
있으며, 우암해양산업클러스터,
동삼 Boost Belt 정비사업 추진 등 
북항 일원의산업구조재편이 일어나고있음


◆ 충장대로지하화 사업이추진되고있어 북항과
원도심의접근성이개선될예정이며,
도심철도지하화사업이 촉진될 경우 
북항 일원의 원도심 공간구조 변화가 예상됨


◆이와 같은 국가 차원에서 추진되는 북항 
일원의 다양한 사업과 기반시설이 열악한 
배후원도심의지역활성화 사업이 연계되어 
지역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실현전략 
마련이 필요함

도시재생 뉴딜사업


◆원도심 일대에는 낙후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시활력을 회복하기 위해 지역
주민 주도의 재생사업을 2014년부터
진행하였음


◆사업유형 중 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는 소규모 주거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우리동네 살리기, 저층 주거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주거지지원형, 준주거지 및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일반근린형 사업이있으며 
사업 계획 수립을 통해 주차장, 공동이용시설, 
생활편의시설 등 기반시설을 도입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졌음


◆현재까지 원도심 일대에 추진했던 주거지
대상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총 8개소로 
2014년 동구의경제기반형사업, 
2016년 중구와 서구의 일반근린형과
 영도구의 중심시가지형 사업, 
2017년 동구 일반근린형과 영도구의 
우리동네 살리기 사업, 2018년 중구의 
주거지지원형과 서구의 우리동네 살리기 
사업이 추진 중에 있음


◆이외에도 2019년도 영도구의 경제기반형 
사업과 서구의 주거지지원형 사업이 선정되어
추진 중임

 


2.2 자연환경


1. 지리적 위치


1.1 위치


◆분석 범위는 원도심 6개 구(區)인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남구, 
부산진구(연계검토구역)에걸쳐있음


◆배후에는 구봉산, 천마산, 봉래산, 
황령산 등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안부에는 남항, 북항, 신항만, 신선대 부두 
등 해상 물류 거점 시설이 입지해 있음

2. 지형


2.1 표고 및 경사도


◆GIS 지형분석 상에서의 대상지 
전체 면적은 16,185,856.1㎡이며, 
천마산, 구봉산, 봉래산 등
대상지에 인접한 산지형이 표고와 
경사에 영향을 미침


◆표고도가 80m 이상 고지대인 지역은 
3,168,306.1㎡로 전체 대상지의 19.57%를
차지하고, 경사도가 15도 이상인 급경사 지역은 
4,371,487.1㎡로 전체 대상지의 27.0%를 차지함


◆표고도 및 경사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정주환경이 열악하지만 대부분 높이
 제한 및 개발행위 규제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2.2 수계 현황


◆대상지 내 하천의 하류구간은 북항과 
접해 있어 조위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이며,
동천 일부구간(광무교 기준 북측 상류부인 
부전천과 전포천)을 제외하고 모두
비복개구간으로 조성되어 있음


◆부산진구에서부터 북항으로 흐르는 
동천이 가장 긴 하천 구간으로 향후 북항과
부산 도심부까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음

 

2.3인문·사회 여건 분석

 

1. 인구 변화

 

1.1 총인구수 변화


◆2020년 기준, 대상지가 포함된 6개 구의 
전체 인구수는 979,518명으로 부산시 전체
인구수 3,391,946명의 28.8%를 차지함

- 구별 인구 구성비는 부산진구가 10.6%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남구, 영도구, 서구, 
동구, 중구 순으로 나타남

◆ 2010년 대비 2020년 인구수를 비교
하였을 때, 6개 구 모두 감소하였으며, 
인구증감률은-12.4%로 부산시 인구증감률
 ­4.9%에 비해 약 2.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구별 인구증감률은 영도구가 ­22.8%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다음으로 중구,
 서구, 동구, 남구, 부산진구 순으로 나타남


◆종합하여 보면, 6개 구 중 인구 구성비가 
낮으면서 인구 감소율이 높은 지역인 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는 향후 인구 감소 문제가
 심화할 것으로 보이며, 지역 활성화 등을 
통한 인구 유입 방안마련이 필요함

 

1.2 전입 전출 인구



◆6개 구의 순이동자수(전입자수-전출자수)는
 2010년 -19,072명, 2015년 ­17,003명, 
2020년 ­3,683명으로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그 차이는 점차
감소하고 있음

◆2020년 구별 전입인구가 전출인구보다 많은 
구는 부산진구, 동구, 서구 순으로 나타남. 
전입인구보다 전출인구가 많은 구는 남구, 
영도구, 중구 순으로 나타남

 

- 부산진구의 경우 순이동자수가
2010년 ­7,017명에서 2020년 3,023명으로,
전출자수가 감소하고
전입자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남

◆2020년 구별 시도 내 이동 전입지를 살펴보면,
전체 전입자수 중 6개 구 평균 약 32%가 
6개 구와인접한 구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남
- 6개 구 내에서 인구 편중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됨에 따라 인구 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

 

1.3 고령 인구


◆2020년 6개 구의 65세 이상 고령인구수는 총 
218,319명, 고령인구비율은 약 24.4%로 부산시
전체의 고령인구비율인 19.4%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구별 고령인구비율은 영도구가 약 27.8%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부산진구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진구를 제외한 
모든 구가 고령인구비율 20% 이상의 
초고령사회에 해당함

◆시계열별 고령인구비율 추이를 보면 2000년 
이후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의 고령인구비율 
증가 양상이 부산진구, 남구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점점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영도구의 고령인구비율이 2015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여 현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향후 지속적인 인구 감소 및 출생률 저하로
인해 고령인구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지역 사회의 노인 복지 
및 사회 경제적 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보임

- 따라서, 고령인구의 생활 개선과 함께 청년층
유입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1.4 출생률

 


◆2019년 6개 구의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당
 출생아수)은 0.67명으로 부산시의 합계출산율인
0.83명보다 낮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6개 구의
 합계출산율은 2010년 0.96명에서 2019년 0.67
명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음

- 이는 6개 구의 출생아수와 사망자수가 2010년
 각각 8,213명, 7,129명에서 2019년 각각 4,076명, 
7,590명으로 출생아수는 급격히 감소한 반면, 
사망자수는 증가하였기 때문임

◆6개구의경우2014년을기점으로사망자수가
출생아수보다많아졌고,부산시는2017년이기점
인것으로 보아 6개 구의 인구 감소기가 부산시 
전체보다 더 빠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인구 
감소에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

 


2. 인구구조 변화


2.1 인구 밀도



◆2020년 부산시 인구밀도는 4,404.7명/㎢로
 6개 구 모두 부산시보다 높게 나타남
- 6개 구의 인구밀도는 중구가 14,672.4명/㎢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부산진구, 남구, 동구, 
영도구, 서구 순으로 나타남
- 특히 중구의 경우, 가장 작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인구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인구밀도가 높을 경우, 주거 및 정주 환경의 
쾌적성, 토지이용의 효율성 등이 떨어지며, 
질병 관련 감염 및 확산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한 주거 및 정주환경 개선 
계획이 필요함

 



2.2 가구원 구성(세대수)

 


◆2010년 대비 2020년 부산시 세대수 증감률은
 11.6%이며, 6개 구는 부산진구가 9.5%로 
가장높고, 다음으로 동구, 남구, 중구, 서구, 
영도구 순임(영도구는 유일하게 ­7.2%로 

세대수 감소)

◆인구수가 감소함에도 세대수가 증가한 
것은 핵가족화 및 1ㆍ2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현상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한 주거 및 정주환경 개선 계획이 필요함

 

2.3 가구원수별 가구수

 

◆2010년대비(2019년기준)6개구(원도심)
가구수는중구(-7.5%),영도구(-5.3%)를제외한
4개구에서소폭 증가하였음

◆가구수 구성의 경우 3인, 4인 가구는 
감소하는 반면, 1인, 2인 가구는 증가하였음

◆6개 구 내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구는 부산진구로 약 41.4%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 남구(30.8%), 동구(30.2%) 순으로 
1인 가구수가 증가율이 큼

◆향후 1~2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3~4인 가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1, 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 공간 수요 충족을 위한 방안이 요구됨

 


2.4 1인 가구 현황



◆부산시 1인 가구는 1995년 대비 2019년에
307,653가구가 증가함(평균 증감율 30.0%) 


◆중구는 1995~2000년(증감율 40.7%), 
2000~2005년(증감율 41.6%) 동안 1인 가구가
 대폭 증가한 반면, 2010~2015년 때 
감소(-1.1%)하다 다시 증가하였음

- 중구는 2019년 기준 6개 구 중 1인 
가구(8,982가구) 수가 가장 낮음


◆서구는 평균 22.4%씩 지속적으로 증가함


◆동구는 6개 구 중 평균 증감율(19.7%)이 
가장 낮지만, 1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함


◆영도구는 1995~2000년(증감율 49.4%) 1인
 가구가 급등하였지만, 최근 2015~2019년 사이 
평균 증감율은 5.1%로 급격히 낮아짐


◆부산진구는 2000~2005년(증감율 45.1%) 
1인 가구가 급등하였으며, 2019년기준 6개구 
중 1인 가구(53,948가구) 수가 가장 많음


◆남구는 2000~2005년(증감율 61.1%), 
2005~2010년(증감율 42.0%) 동안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평균 증감율이 
32.2%로 6개 구 중 가장 높음


◆6개 구 중 남구 및 부산진구는 오피스 및 
대학교가 밀집한 곳으로 1인 가구가 지속적 
증가할 것으로예상되며, 이를 고려한 생활 및 
주거환경 계획이 필요함

 


2.5 경제활동인구

 


◆부산시 경제활동인구는 평균 ­3.34%
(1995-2020년, 5년 단위)로 감소하였으며,
 ‘95년 대비   (기준년도 ‘20년, 이하 동일) 
454,130명 감소하였음


◆평균 증감율 비교 시, 6개 구 경제활동 
인구수는 부산시 보다 높은 수치로 감소하였음

- 특히, 영도구 평균 증감율은 ­13.60%로 6개구 
중 감소율이 가장 높으며, ‘95년 대비 81,456명
감소하였음

◆부산시 내에서도 6개 구의 경우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가 매우 크며 특히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의 경우 감소비율이 매우 높아
 향후 고령화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실정임

 

.

긴내용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오늘도 즐건하루되시길 바랍니다.

부산아재84

 

 

 

 

부산북항재개발 관련 2021마스터플랜 1장 배경및 목적

안녕하세요! 요즘 부산 북항재개발관련해서 저처럼 관심을 많이 가지고 계신분들이 많으신거같아서 북항재개발 최종보고서 내용을 가져와봤습니다. 많은 양의 내용이라 한번에포스팅은 다하

busanvill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