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2021 부산북항 통합개발 도심재창조 마스터플랜 2장 현황및 여건분석 중 2.10 지역진단분석 2.10 지역 진단 분석 1. 쇠퇴현황 1.1 부문별 동(洞)단위 도시쇠퇴 현황 인구사회 Ÿ 대상지가 포함된46개 동 중에 최근 30년간 인구가가장많았던 시기와비교하여20%이상 인구가감소한지역에해당하는동은33개동이며, 최근5년간3년이상연속으로인구가감소한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40개 동으로 나타남 Ÿ 종합하여 볼 때, 46개 동 중 42개 동이 인구사회부문에서 도시쇠퇴기준에 충족함 산업경제 Ÿ 대상지가 포함된 46개 동 중에 최근 30년간 총사업체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와 비교하여 5% 이상 총사업체수가 감소한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25개 동이며,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총 사업체수가 감소한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22개 동으로 나타남 Ÿ 종합하여 볼 때, 46개 동 중 27개 동이 산업경제부문에서 .. 2022. 5. 31.
부산북항재개발 관련 2021마스터플랜 2장 현황및 여건분석 (2.7문화관광 여건 분석, 2.8공원및녹지여건분석, 2.9 건축물및 주택여건분석) 2.7 문화관광 여건 분석 1. 역사 및 문화자원 ※ 대상지 주변으로는 다양한 근대 역사자원 이 밀집하고 있으며 피란수도 부산 유산으로 지정된 일부 자원들은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에 있음 ※역사 및 문화자원의 현황을 보면 중구, 서구, 동구에 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일부 용두산과 복병산 주변과 산복도로를 따라 부분적으로 밀집하고 있는 형태를 보임 ※따라서, 중구, 서구, 동구의 경우 부분적 으로 밀집하고 있는 점적인 시설들을 연계시켜 기존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 ※또한, 부산진구, 남구, 영도구의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역사자원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동천 일원의55보급창,범천동차량정 비단,태종대와같은대규모공간자원이많이 분포해있어활용도를높일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함 2. 특화거리 현황 ※대상.. 2022. 5. 25.
부산북항재개발 관련 2021마스터플랜 2장 현황및 여건분석 (2.4 토지이용여건분석, 2.5 경제및 산업여건분석, 2.6 교통여건분석) 2.4 토지이용 여건 분석 1. 토지 1.1 용도지역 현황 ※대상지 내에서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가장넓게분포하며 주거지역의 경우 산복도로와 영도구 봉래산 아래 경사지에 주로 위치하고, 상업지역의 경우 중구와 서구, 동구의 연안을 따라 위치한 역세권 주변으로 형성되어 있음 ※따라서,향후 경사지부근과연안부근의 특성 차이에따른차별화된지역계획 및 사업이 도출될 필요가 있음 1.2 지목별 현황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은 대(垈)가 52.32%(9,548,640㎡)로 절반가량을 차지해 건축 행위를 할 수 있는 개발 가능 용지가 대상지 전체에 분포하고 있음 ※대(垈)를 제외한 나머지 지목으로는 도로 20.04%(3,656,942㎡), 임야 7.81%(1,424,974㎡), 학교용지 6.33%(1,154,810㎡) 순으.. 2022. 5. 23.
부산북항재개발 관련 2021마스터플랜 2장 현황및 여건분석 (2.1 원도심일원의변화, 2.2 자연환경, 2.3 인문.사회적 여건분석) 반갑습니다 부산북항재개발내용 2번째 포스팅입니다. 이전시간에는 계획의 개요에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포스팅부터는 양이 좀 많습니다. 원도심일원의 변화부터~ 사례조사까지 내용이 길어서 나눠서 포스팅해볼께요!! 2.1 원도심 일원의 변화 1. 원도심 여건변화 ◆2020년 기준 원도심의 인구는 979,518명으로 부산시 인구의 28.8%를 차지하고 있으나, 지난10년 동안 13.9만명(12.4%)이 감소하여 지속적인 인구 유출과 도심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음 ◆부산시의지역 내 총생산은 2018년89,979,896백만원으로2010년대비 41.2%증가하였으나, 원도심의 지역 내 총생산은 2018년 27,680,153백만원으로 2010년 대비 29.3% 증가함 ◆2010년 부산시의 지역 내 총생산 중 원도심이 차지하는.. 2022. 5. 20.
부산북항재개발 관련 2021마스터플랜 1장 배경및 목적 안녕하세요! 요즘 부산 북항재개발관련해서 저처럼 관심을 많이 가지고 계신분들이 많으신거같아서 북항재개발 최종보고서 내용을 가져와봤습니다. 많은 양의 내용이라 한번에포스팅은 다하지못하고 나눠서 올려볼테니 부산 북항재개발관련 해서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배경 및 목적 1. 계획의 배경 부산다움이 드러나는 ‘부산항도심’ 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 ◆부산은 바다, 산, 강 시가지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입체적인 지형과 공간적인밀도가 높아 어디에서나 잠깐의 이동으로 갈맷길이나 해안과 수변산책로, 동네 뒷산을 만날수 있는 매력적인 도시임 ◆부산항 북항 배후 도심부는 ‘자연과 일상 그리고 생업’이 역동적인 역사속에서 이루어진 부산의 특성을 나타내는 삶터이지만, 압축적인 경제 개발 과정에서 형.. 2022. 5. 20.
무허가건물 미등기건물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을수있을까? 무허가건물 또는 미등기건물의 주택임대차 보호법의 보호를 받을수있을까? "받을수있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주택의 임대차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주택의 전부 또는 일부의 임대차에 관하여 적용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임차주택이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은 건물인지, 등기를 마친 건물인지 아닌지를 구별하고 있지 않으므로, 어느 건물이 국민의 주거생활의 용도로 사용되는 주택에 해당하는 이상 비록 그 건물에 관하여 아직 등기를 마치지 않았거나 등기가 이루어질 수 없는 사정이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대상이 됩니다. (대법원 2007.6.21. 선고 2004다26133 전원합의체 판결). 「주택임대차보호.. 2022.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