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특징과 성질
“주목나무(Taxus cuspidat )"
-상록침엽수-
<글의 순서>
1.'주목'이름의 유래
2.나무의특징과 성질
3.관리작업(식재와이식,비료,전정)
1.주목의 이름의 유래
'주목'
(Taxus cuspidata)
주목(Taxus cuspidata)의 이름 "Taxus"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소나무과 에 속하는 나무들을
지칭하는 과명(Genus)으로 사용됩니다.
여러 소나무과에 속하는 종들이 Taxus 속에
속하고 있습니다.
주목의 종명 "cuspidata"는 뾰족한
형태를 나타냅니다.
라틴어에서 "cuspidatus"는 "뾰족한"
이라는 뜻이며, 이는 주목의 잎이나
가지의 뾰족한 모양을 설명하는데 사용됩니다.
이것은 종의 특징 중 하나로,
주목의 잎이 뾰족하게 끝나고
가지의 생장 형태가 뾰족한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Taxus cuspidata"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 중에서도
뾰족한 형태를 지닌 특별한 종을
나타내는 학명입니다.
한편 주목이라는 이름은
나무 껍질과 속재목의 색깔이
붉은색을 띠는데서 유래되었다고 이야기도합니다
지금도 강원도에서는 '붉은 나무'라는 의미로
주목을 적목 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이름은 이 나무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거 같네요~
2.나무의 특징과 성질
-나무의 크기와 모양-
주목은 대체로 중대형에서 대형의
나무로 자라며, 높이는 10미터에서 15미터까지
다양합니다. 나무의 생장형태는
나선모양의 가지와 줄기로 특이하게 나타납니다.
-원추형의 수형을즐긴다-
수직으로 자라는 수간에서 사방으로 가지를
뻗어 원추형의 수형으로 자랍니다.
생장이 느려서 수형을 갖추기까지는 몇년이
걸리지만 한번 수형이 만들어 지면 그다음부터는
수형을 관리하기가 쉽습니다.
-목질부가 치밀하다-
목재는 건축재, 조각재, 악기재, 연필재등의
용도로 이용이됩니다.
또, 서양에서는 활의 재료로 많이 활용이 되었으며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에서 영국의 승리는
주목으로 만든 강한활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주목은 독성이 있지만 약용및 의학적활용된다-
주목의 과육에는 독성 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과육주위에있는 부분에는
독성이 있을수있으며 이것을
먹는것은 위험할수있습니다.
씨앗 또한 전체적으로 독성이 있습니다.
주목의 모든 부분은
세슘, 펙티놀 알칼로이드 등의 독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과육이나 다른 부분을 먹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송봉근 교수의 한방클리닉 ‘주목’(朱木)
항암효능 택솔…씨눈이나 잎 또는 줄기 추출
m.ilyoweekly.co.kr
하지만 주목의 독성은 약용에도 활용
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의 독성에서 나오는
알칼로이드 중 팩리티엔은 항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항암 약물 개발에 관심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의학적으로 사용할 때에도
안전한 용량과 방법에 주의해야 합니다.
3.관리작업
-식재와 이식-
주목나무 식재의 일반적인 시기는
봄(3월 ~ 5월)
봄은 주목나무의 생장이 활발한 시기로,
식재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신록한 신장이 자랄 때, 삽목이나
이식이 수월해집니다.
가을(9월 ~ 11월)
가을도 주목의 생장이 활발한 시기로,
봄에 이어서 두 번째로 적합한
식재 시기입니다.
봄보다는 조금 늦은 시기이지만
여전히 좋은 성공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주목나무는 전체적으로 성장이 느리고
특이한 생장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재 시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주목은 독성이 강한 식물로
알려져 있어 다룰 때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식할때 뿌리를 내리는 곳은 어느정도의 공간을
확보하는것이 좋습니다. 좁은 장소나
토심이 얕은곳에 식재하면 해가 갈수록
수세가 쇠약해집니다.
-관리, 전정시기-
강전정을 하더라도 잘견디므로 여러가지
형태로 수형을 만들수 있지만 가능하면 약전정을
하는편이 좋습니다. 시기는 햇가지가 나와서
굳기 시작하는 6월과 9월이 적기 입니다.
자연수형으로 키울때는 몇년에 한번정도
불필요한 가지만 쳐주는 정도로
가볍게 전정합니다.
정원에 정식하였을때는 1년에 한번정도
전정을 해주고, 토피어리와 같이 인공수형인
경우에는 1년에 두번 6월과9월에 전정을 해줍니다.
-비료주기-
주목나무(Taxus cuspidata)의 비료 주기는
주로 생장기에 따라 조절되며,
나무의 건강한 성장과 올바른 영양을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
비료 사용은 지역적인 토양 조건과 기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겠습니다.
봄(3월 ~ 5월)
봄은 생장이 활발한 시기로,
주목나무에게 비료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는 주로 질소(N)을 강조 합니다.
질소는 잎의 생장과 녹색 색상을
강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여름(6월 ~ 8월)
여름에는 주목의 생장이 여전히
활발한 시기이지만, 질소 비료의 사용을
줄이고 인과 인산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과 인산은 꽃과 열매의 형성을 지원합니다.
가을(9월 ~ 11월)
가을은 나무가 준비하는 준비기간으로,
비료 공급을 조절하게 됩니다.
이때는 인과 인산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생장이 둔화되므로 비료의 양을
줄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겨울(12월 ~ 2월)
겨울은 주목의 생장이 둔화되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비료 공급을 중단하고,
나무가 휴면 상태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주목(Taxus cuspidata)의 꽃말은
"불멸"과 "죽음에서의 부활"입니다.
불멸
주목은 수명이 길고, 오랜 시간 동안 변하지 않는
푸른 잎을 유지하는 특성 때문에 '불멸'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는 수백 년, 때로는 수천 년까지
살아남는 경우가 많아,
영원한 생명과 불멸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죽음에서의 부활
주목은 겨울에도 푸른 잎을 유지하며,
매우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죽음에서의 부활'이라는 꽃말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꽃말은 주목이 추운 겨울을 견뎌내고
봄에 다시 새싹을 틔우는 모습에서 유래했습니다.
주목은 옛날부터 무덤가나 신성한 장소에
심어졌으며, 부활과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러한 꽃말들은 주목이 지닌
강인함과 영원한 생명력,
그리고 다시 태어나는 힘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더푸르게 조경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목서 관리방법 그리고 꽃말 이야기 (2) | 2024.09.12 |
---|---|
금목서 관리방법 부산조경식재팀 더푸르게 (3) | 2024.09.04 |
느티나무 관리 방법과 꽃말 이야기 (3) | 2024.09.03 |
홍가시나무 잘키우는방법과 병충해 '근두암종' 해결방법알기 (4) | 2024.09.02 |
이팝나무 관리 이야기 와 특징, 꽃말은 무엇일까? (1) | 202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