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가시나무는 어떻게 관리를 해야할까?
“홍가시나무 (Photinia glabra)"
-상록침엽수-
[글의순서]
1.'홍가시나무 이름의 유래
2. 나무의 특징과 성질
3.관리작업(식재와 이식, 비료, 전정)
1. 홍가시나무의 이름 유래
홍가시나무
(학명: Photinia glabra)는
장미과(Rosaceae) 식물로
'홍가시'라는 이름은 붉은색 잎이
특징인 이 나무의 외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홍(紅)'은 '빨갛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가시' 는 나무의 잎 끝이 뾰족하게
자라나는 특징을 반영한 것입니다.
특히 새로 나오는 잎이 붉은색을 띠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녹색으로
변하는 것이 이 나무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2. 홍가시나무의 특징과 성질
외형: 홍가시나무는 상록수로,
잎은 길쭉한 타원형이며
윤기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봄철에 붉은색 잎이 돋아나면서
매우 화려한 모습을 보이며,
이 잎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녹색으로 변합니다.
여름이 되면 잎의 색상이
짙은 녹색으로 바뀌어 시각적인 변화를 줍니다.
수고는 5~10m 정도이고,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표면에 광택이
있습니다.
5월경 새순이 나올때와 가지치기를 한 직후
진홍색의 햇가지가 나오면나무전체가
단풍이 든것처럼 아름 답습니다.
꽃과 열매: 홍가시나무는
봄에 작은 흰색 꽃을 피우며,
가을이 되면 붉은색 열매가 맺힙니다.
이 열매는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으며,
새들에게 좋은 먹이가 됩니다.
내한성과 내건성: 홍가시나무는
비교적 추위에 강하고,
건조한 환경에도 잘 견디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잘 자랍니다.
참고로 일본이 원산지!!
3.관리작업
-식재와 이식-
이식과 식재는 9~10월이
적기입니다. 3~4월에도 가능하지만
봄에 식재하면 뿌리에 근두암종병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관리,전정방법-
가볍게 수관 다듬기를 해주면 새빨간
햇가지를 오랫동안 감상할수있습니다.
맹아력이 강하기 때문에 전정과
수관다듬기는 가을과 겨울을 제외하고는
연중가능합니다.
홍가시나무는 맹아력이 강하기 때문에
어떠한 전정에도 잘견딥니다.
그러나 여름에서 가을동안에 강전정을
하게되면 병충해에 걸리기 쉽기때문에
가능하면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비료-
2~3월에 유박등 유기질 거름을 밑거름으로 줍니다.
6월에 덧거름으로 같은 종류의
비료를 소량 시비합니다.
-병충해-
근두암종병에 걸렸을경우에는
뿌리채뽑아서 폐기처분합니다.
근두암종의 원인
근두암종은 Agrobacterium tumefaciens
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세균은 토양에서 살며,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서 생긴
상처를 통해 침투합니다.
식물 조직에 종양(혹)이 생기게 됩니다.
근두암종의 증상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식물의 뿌리, 줄기, 또는 가지에
혹(종양)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혹은 처음에는 작고 부드럽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커지고 단단해집니다.
심한 경우, 근두암종에 감염된
식물은 약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결국 죽을 수 있습니다.
근두암종의 치료
1. 감염 부위 제거
감염된 식물의 혹(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종양이 발생한 부위를 날카로운 도구로 잘라내고,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소독합니다.
이때, 세균이 상처를 통해 다시
침입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2.바이오제제 활용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이 박테리아는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감염을 억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 이식 전 또는 초기 감염 시 K84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들도 있습니다.
홍가시나무(Photinia glabra)의 꽃말은
"영원한 사랑" 과 "변치 않는 마음" 입니다.
영원한 사랑
홍가시나무는 사계절 내내 푸른 잎을
유지하며, 특히 가을과 겨울에는
잎이 붉게 물드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변함없는 사랑을 상징하는
꽃말이 부여되었습니다.
변치 않는 마음
홍가시나무의 견고한 생명력과
계절에 따라 변하는 색상은 변치 않는
마음과 끈기를 상징합니다.
이는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마음을
표현하는 꽃말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꽃말은 홍가시나무의
아름다움과 강인함을 잘 반영하며,
사랑과 신뢰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더푸르게 조경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목서 관리방법 그리고 꽃말 이야기 (2) | 2024.09.12 |
---|---|
금목서 관리방법 부산조경식재팀 더푸르게 (3) | 2024.09.04 |
느티나무 관리 방법과 꽃말 이야기 (3) | 2024.09.03 |
이팝나무 관리 이야기 와 특징, 꽃말은 무엇일까? (1) | 2024.09.01 |
주목나무 Taxus cuspidata 관리방법과 특징과 성질 (2) | 2024.08.29 |